Surprise Me!

[뉴스라이더] 국고채 장·단기 금리 '역전 현상'...경기 침체 신호탄? / YTN

2022-12-01 1 Dailymotion

■ 진행 : 안보라 앵커 <br />■ 출연 : 홍기빈 글로벌정치경제연구소장 <br /> <br />*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 인용 시 [YTN 뉴스라이더]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. <br /> <br /> <br />국내·외 경제 이슈를 알기 쉽게 쏙쏙! 알아보는 시간입니다. 목요일의 남자 홍기빈 글로벌정치경제연구소장과 함께합니다. 어서 오십시오. 밤사이에 뉴욕증시 올랐고 잠시 후면 우리 증시도 열리는데 어떻게 될지 한번 보고요. 오늘 우리가 공부할 건 국고채 장단기 금리 역전 현상입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제가 우리 경제를 보면서 경기라는 게 너무 과열돼도 문제고, 너무 침체가 돼도 문제고 중간이 참 어렵다는 생각이 들어요. 오늘 침체 시그널로 불린다는 국고채 장단기 금리역전현상이 보이고 있다고 하는데 일단 국고채 금리가 뭔지에 대해서 설명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. <br /> <br />[홍기빈] <br />말이 어려워서 그렇지 아주 간단합니다. 그러니까 나라에서 돈을 꿔오는 것을 국채라고 하죠. 국채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게 국고채니까 그냥 국채랑 동의어로 생각하셔도 되고요. 여기서 만기가 돈을 꾸면 이 원금을 3년 후에 돌려주느냐, 10년 후에 돌려주느냐에 따라서 기간이 쭉 있는데. <br /> <br /> <br />그게 두 가지 인가요? 3년하고 10년? <br /> <br />[홍기빈] <br />아닙니다. 1년부터 10년 또 어떤 나라는 30~50년까지도 있습니다. 아주 다양하게 있습니다. 이 시간텀에 따라서 쭉 있는데요. 어떤 원칙이 있냐면 국채의 특징으로 꼭 기억하셔야 될 게 원칙적으로 리스크가 전혀 없는 자산이에요. 그러니까 국가가 망하지연합회는 한 국가가 약속을 안 지킬 리는 없잖아요. <br /> <br />3년 후에 돌려주니까. 우리가 다른 투자는 어떻게 돼서 망할 수 있다 하더라도. 그래서 이 국채라고 하는 건 리스크가 없기 때문에 금융시장에서 가장 기본적인 위치를 가지고 있고 이 3년이다, 10년이라고 하는 국채의 금리는 정확하게 뭘 표현하게 돼 있냐면 이른바 시간 선호라는 것만 표현하게 돼 있어요. <br /> <br />시간 선호는 우리가 가령 어디다 투자를 하면 돈이 한 3년 동안 묶이잖아요. 싫잖아요. 그러면 그 3년짜리의 이자율이라고 하는 게 그 싫은 마음을 설득할 수 있는 웃돈, 프리미엄에 해당하거든요. <br /> <br />그러니까 사람들이 어느 만큼 돈이 묶이느냐를 싫어하느냐만 표현하는 걸로 되어 있기 때문에 여러 국채수익률이 어떤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21201091303709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